궁금해 궁금해!!/About Coffee

[스크랩] 메뉴(MENU)의 구성 정의

己千 2011. 1. 2. 11:03

메뉴는 식당(이하 커피전문점)의 상징적 기능을 합니다. 성공적인 메뉴는 적절한 가격 수준, 데코레이션, 기술, 설비 및 시설배치, 조화, 상품의 공급능력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메뉴는 커피전문점의 얼굴이며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뉴 경영은 고객의 만족을 통해 단골 고객 증가, 새로운 고객 창출에 의한 매출 증대 및 수익 창출이 궁극적 목적이며 이익의 극대화로 이어집니다. 메뉴의 분류에는 기능, 계절, 시간, 가격, 구성형태, 식당의 종류에 의해 분류되며 적용기간에 따라 고정 메뉴, 주기적 메뉴, 단기적 메뉴로 나뉘며, 선택폭에 따라 선택폭이 없는 메뉴와 선택폭이 좁은 or 넓은 메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메뉴의 품목은 식음료를 생산하고 서비스하는데 소요되는 기술인력이나 노동력에 의해 좌우된다고 합니다.

 

 

[메뉴의 역활]

 

1. 메뉴는 고객과 약속한 가치이다.

ex) 메뉴를 통하여 고객이 받는 이미지, 느낌, 표시된 가격, 예상 품질, 서비스는 고객의 기대 가치

 

2. 메뉴는 식당의 경영방침이 집약되어 있다.

ex) 메뉴를 토대로 식당과 주방설비, 종업원 수, 재료의 선택 등이 결정

 

3. 메뉴는 식당의 개성표현, 이미지 조성을 한다.

ex) 품목, 특별 메뉴, 가격이 명기되어 있다. 최근에는 재료, 서비스방식까지 기입을 해놓기도 한다.

 

4. 메뉴는 서비스맨이자 세일즈맨이다.

ex) 고객은 메뉴를 보고 주문한다. 메뉴에 의한 선택, 메뉴는 음료를 안내한다.

 

5. 메뉴는 고객과 종사원의 마음을 한 데 묶는다.

ex) 메뉴를 보고 망설이는 고객에게 종사원이 메뉴를 설명하고 음료를 권한다.

 

6. 메뉴는 음료 연구의 자료가 된다.

ex) 메뉴는 이용객의 선호를 알려준다. 주문이 많은 음료와 그렇지 않은 음료를 분석할 수 있다.

 

7. 메뉴는 서비스 약점 보강을 위한 유형화이다.

ex) 무형의 상품을 파는 서비스 기업 일수록 서비스의 유형화를 중시하며, 서비스는 보이지 않는 만큼 고객이 판단하기 힘들다.

 

물론 실전의 메뉴를 구성하는것과 다소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커피집을 오픈하시는 분들께 약간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올립니다.

 

참고서적: 호텔식음료 메뉴경영론

 

-SHBman-

출처 : 커피집
글쓴이 : SHBman 원글보기
메모 :